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47 - 허블이 본 우주 4



 계속해서 허블 우주 망원경의 이미지 입니다. 





(우주의 수레바퀴.   지구에서 5억 광년 떨어진 수레바퀴 은하 (Cartwheel Galaxy  ESO 350-40)이 독특한 모습 역시 은하 충돌의 결과이다.  이 수레바퀴의 지름은 15 만 광년에 달한다.   This file is in the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아름다운 자주색 고리.  지구에서 5천만 광년 떨어진 NGC 4314 은하.  이 은하의 고리에는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젊은 별들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 자세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




(옆으로 세운 원반.   은하는 지구에서 보는 각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보일 수 있다. 여기에 먼지의 분포 또한 여러가지 형태를 만든다. 나선 은하의 일종인 NGC 4710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이 은하의 측면의 일부만을 볼 수 있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and ESA. )





(은하를 삼킨 증거   안드로메다 은하 (M31) 중심부를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했다. 이런 거대 은하들은 그 중력으로 다른 은하들을 집어 삼키면서 더 커졌다고 생각된다. 안드로메다 은하 중심부엔 그 증거로 두개의 블랙홀이 존재한다. 이 블랙홀들은 각기 다른 은하의 중심핵이었다가 합쳐진 것이다. 참고로 위 이미지의 너비는 약 40광년 정도이며 두 블랙홀 사이 거리는 5 광년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천체. 지구에서 30억광년 이상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퀘이사인  Quasar HE0450-2958  의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이다. 퀘이사들은 대개 호스트가 되는 은하를 지니고 있지만 이 퀘이사는 호스트 은하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집이 없는 퀘이사 (Quasar without home) 이라 불린다. 일설에 의하면 퀘이사의 밝은 빛으로 인해 뒤에 은하가 가려서 보이지 않는다는 설도 있지만 최근  ESO 관측 결과는 이를 반박하고 있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ESA. )





(가장 젊은 은하 ?   우주의 먼 곳에서 발견되는 은하일 수록 생성된지 얼마 안된 젊은 은하일 것이다. 그러나 5900만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I Zwicky 18 은하는 상당히 젊은 별로 구성된 은하로 최근에 발생한 은하일 가설이 제기되었다. 최근에 관측 결과는 보다 늙은 별들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사실 젊은 은하가 아닐 가능성도 있지만 아무튼 이 은하가 이렇게 최근에 만들어진 별들로 주로 구성된 점은 흥미롭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우주의 그림 물감.  용골자리 성운 (Carina Nebula) 은 지구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밝은 성운이다. 그 지름은 20 파섹에 달한다. 우리 은하에서 가장 큰 성운 중 하나이며 지구에서 6500 - 1만 광년 떨어져 있음에도 겉보기 등급이 + 1.0 에 달한다. 이 성운은 꽤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전체 구조를 위의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에서 볼 수 있다. 세부 사항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을 계속한다.  글자가 작게 보이면 클릭하면 원본을 볼 수 있음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ESA)





(폭발하는 듯한 별   용골자리 성운 안에 있는 여러 별들은 항성 진화의 여러 단계를 보여준다. 그 중 에타 카리나 (Eta Carina, 용골자리 에타) 는 태양 질량의 100 - 150 배에 달하는 거대 질량 별로써 항성의 질량 한계인 에딩턴 한계에 근접한 별이다. 그 밝기는 태양 밝기에 400 만배에 달할 정도로 밝다. 위의 사진에서 별은 가운데 존재하는 밝은 점이며 이 별이 사방으로 강력한 항성풍을 뿜어 내면서 주변에 거대한 가스 구름을 형성한 상태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and ESA.  )





 (우주의 열쇠 구멍    19세기 위대한 천문학자인 존 허셜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작은 어두운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열쇠 구명 (Key Hole) 같다고 해서 Key hole nebula 라는 명칭을 붙였다. 오늘날 이 부분은 주변 용골자리 성운에 비해 차가운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크기는 약 7 광년이다. 클릭하면 원본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별들의 신생아실    용골자리 성운은 죽기 직전이라고 보이는 용골자리 에타 별도 있지만 새로 생기는 별들의 신생아실 역활도 하고 있다. 위의 성운 전체 사진에서 Herbig - Haro Object 라고 표시된 부분이 그곳인데 참고로 Herbig - Haro Object 는 새롭게 생기는 별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인해 생긴다고 생각된다. 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검은 연기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아기 별의 탄생 장소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죽은 별의 잔해   나선 성운 (Helix Nebula) 은 지구에서 약 700 광년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행성상 성운이다. 그 지름은 약 2.5 광년 정도이다. 마치 눈동자 처럼 생겨서 서구에서는 신의 눈동자 (Eye of God) 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먼 미래 태양이 죽으면 이렇게 행성상 성운이 될 것이다. 클릭하면 원본 Credit: NASAESA, C.R. O'Dell (Vanderbilt University), M. Meixner and P. McCullough (STScI) )



 다음에 계속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R 스튜디오 설치 및 업데이트

 R을 설치한 후 기본으로 제공되는 R 콘솔창에서 코드를 입력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게 하기 보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R 개발환경인 R 스튜디오가 널리 사용됩니다. 오픈 소스 무료 버전의 R 스튜디오는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R을 위한 IDE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rstudio.com/  다운로드 R 이나 혹은 Powerful IDE for R로 들어가 일반 사용자 버전을 받습니다. 오픈 소스 버전과 상업용 버전, 그리고 데스크탑 버전과 서버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오픈 소스 버전에 데스크탑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상업 버전의 경우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년간 995달러, 서버 버전은 9995달러를 받고 여러 가지 기술 지원 및 자문을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는 과정은 매우 쉽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인스톨은 윈도우, 맥, 리눅스 (우분투/페도라)에 따라 설치 파일이 나뉘지만 설치가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이라면 R은 사전에 반드시 따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R 스튜디오만 단독 설치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죠.   설치된 R 스튜디오는 자동으로 업데이틀 체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R 스튜디오에서 Help 로 들어가 업데이트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할 내용이 없다면 최신 버전이라고 알려줄 것이고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R의 업데이트와 R 스튜디오의 업데이트는 모두 개별적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R 업데이트는 사실 기존 버전과 병행해서 새로운 버전을 새롭게 설치하는 것입니다. R 스튜디오는 실제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구버전을 지워줄 필요는

R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오류 (1)

 R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아예 R을 재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렇게해도 해결이 안되고 계속해서 사용자는 괴롭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혹은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같이 설치하는 패키지 중 하나가 설치가 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계속 나왔는데, 사실은 백신 프로그램 때문이었던 경우입니다.   dplyr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나왔습니다.  > install.packages("dplyr") Error in install.packages : Updating loaded packages > install.packages("dplyr") Installing package into ‘C:/Users/jjy05_000/Documents/R/win-library/3.4’ (as ‘lib’ is unspecified) also installing the dependencies ‘bindr’, ‘bindrcpp’, ‘Rcpp’, ‘rlang’, ‘plogr’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_0.1.1.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15285 bytes (14 KB) downloaded 14 KB trying URL ' https://cran.rstudio.com/bin/windows/contrib/3.4/bindrcpp_0.2.2.zip ' Content type 'application/zip' length 620344 b